.d.ts
파일을 동봉한 베스트프렉티스: https://github.com/fastify/fastify======================== 낙서 ========================
.d.ts
파일이 같이 관리되고 있지 않는 프로젝트들은 어떻게 Definitelytyped에 컨트리뷰트 했을까?? 한 프로젝트 안에서 .d.ts
를 생성하던가 뭔갈 하긴 했을텐데.. .gitignore
처리를 한 것 같지는 않아보이고, 도대체 어떤 연결점이 있는걸까??? → JSDoc 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나중에 .d.ts Generate 하면 됨. Generate 된 폴더는 gitignore 하던가 그건 내맘이고.. 공식문서 여기대로 잘 구성만 하면 됨.!!!아니다. TS로 시작해서 JS와 d.ts 뱉고 그걸 package.json에 명시할 수도 있다. ⇒ JS 소스가 난해해질수있음
오픈소스에 typescript를 어떻게 적용할까? →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무조건 JS로 시작하긴 해야함. 그 중에서 CASE 를 나누어야 하는데
.d.ts
파일을 얻는다. ⇒ 괜찮은 방법인듯.d.ts
파일은 코드베이스로 같이 따로 작성하여 관리한다 ⇒ 두번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참고사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