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바코드 입력’과 ‘사용자 입력’ 두가지 라디오 옵션이 있고, 바코드 입력 옵션 선택시에는 사용자 입력이 제한되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있었다.

해결방법은 처음에 들었을 때 정~말 간단하게 보인다. 바코드와 사용자 입력이 무엇이 다른지 캐치하면 되니까.

근데, 차이가 없다. 바코드 입력도 운영체제로 키 입력을 전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키보드 액션과 동일하다고 봐야한다.

여기까지 봤을땐 구분되는 변수가 없어보인다.

근데 여기서 포기할쏘냐? 어떻게든 오감을 동원하여 차이점을 찾아내야만 한다. 그렇다. 딱 한 가지 차이가 있다.

그것은 바로 ‘입력속도’. 이제 입력속도를 반영하여 호출하는 기술을 익히면 된다. 평소에 라이브러리를 꾸준히 열심히 탐독해 나갔다면 debounce가 그 해결책이 될 것임을 알 것이다.